

SERVICES
-
Threat
IntelligenceTI 서비스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력을 통해 딥/다크웹의 유출 정보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다양한 외부 위협으로부터 고객을 보호합니다.
-
Digital Abuse
IntelligenceDI 서비스는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데이터를 연구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디지털 악용 행위를 분석하고 비정상적 거래를 초래하는 사용자를 탐지합니다.
-
Virtual Asset
IntelligenceVI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반 탐지 기술을 사용해 가상자산 거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불법 거래를 모니터링합니다.
WE WORK WITH
01 | 00
INTELLIGENCE
@S2W
01 | 00
-
Two Copycats of LockBit Ransomware: SolidBit and CryptOn
록빗(LockBit) 랜섬웨어 조직은 오랜기간 리브랜딩 없이 두 차례 자체적으로 브랜드를 업데이트하였고, 최근 발표한 록빗 3.0 업데이트로 그 인지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
Evolution of LockBit to 3.0
록빗(LockBit) 랜섬웨어는 이전까지 ABCD 랜섬웨어로 알려졌으며 메이즈(Maze) 랜섬웨어 조직에 속해 있었으나, 메이즈 갱단이 은퇴를 선언하면서 2019년 9월 독립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
Raccoon Stealer is Back with a New Version
2022년 3월 25일, 다크웹 포럼에서 활동하던 악성코드 라쿤 스틸러(Raccoon Stealer)의 운영자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핵심 개발자가 사망하면서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
Carding market “BidenCash” disclosed 7.9 million cards
다크웹 카드 마켓 "BidenCash"에서 전 세계 약 790만 개의 카드 정보를 판매 및 홍보하고 있는 사실을 포착했습니다.
-
Emerging threats to NFT
최근 가상화폐, 그 중에서도 NFT를 타겟으로 하는 다양한 공격이 발생하고 있어 NFT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NFT 시장에 대한 관심은 2017년도 CryptoPunks의 등장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이후 2020년도부터 급격하게 성장 중입니다.
-
The History of BlackGuard Stealer
최근 NFT를 비롯한 블록체인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사이버 범죄자들은 주로 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해 개인 PC에 저장된 주요 정보와 데이터를 훔치고 있습니다. 더불어 최근 전 세계 대기업을 상대로 데이터 해킹을 시도하고 있는 LAPSUS$ 그룹이 스틸러 악성코드를 통해 도용한 주요 데이터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스틸러 악성코드에 대한 리스크가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
It's an honor to be nominated as the top 10 cybersecurity startups in Korea
사이버 보안 분야의 국내 스타트업들이 수년 전부터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고 있습니다. 현재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높으며, 이는 한국에 숙련된 사이버 보안 전문 인력이 크게 부족하다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최근 사이버 보안 분야의 수요가 많은 이유는 2025년까지 전세계적으로 연간 10조 5천억 달러에 이르는 사이버 범죄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AI, 머신러닝, 신종 해커, COVID-19로 인한 원격근무 수요 등이 발전하면서 국내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들은 클라우드에서 IoT 기기로 이동하며 원격 근무자 및 제품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자금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
S2W's new CTI solution Quaxar will be launching!
S2W의 새로운 CTI 솔루션 Quaxar는 기업의 핵심 자산 보안은 물론,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더 나은 의사결정을 돕습니다.
-
NLP research paper regarding the dark web has now been accepted at NAACL 2022
S2W NLP팀과 KAIST가 공동 연구한 다크웹 리서치 페이퍼, 'Shedding New Light on the Language of the Dark Web'가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탑티어 학회 NAACL 2022에 Accepted 되었음을 알립니다.